• 2025. 7. 21.

    by. life-maker

     

    요즘 유튜브를 보다보면 젊은 직장인들 사이에서 퇴사 브이로그, 퇴사후기 등

    퇴사와 관련된 영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역시 20대 때 퇴사와 이직을 여러번 했던 경험이 있는데요,

    실업급여 신청, 건강보험 전환, 갑자기 불어난 고정지출 등

    막상 퇴사해보면 현실적으로 준비가 부족했던 걸 깨닫게 됩니다.

    이 퇴사 전 반드시 챙겨야 할 경제 준비 5가지 빠르게 알고가세요

     

    퇴사 전 준비, 퇴사서류, 퇴사 경제 준비

     

    퇴사 전 경제 준비 5가지 체크리스트

    [] 실업급여 조건 + 퇴사사유 증빙 확보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예상 보험료 확인(모의계산 해보기)

    [] 국민연금 유지 or 예외 여부 결정

    [] 퇴사 서류 발급

    [] 생활비 3개월치 확보

     

    1. 실업급여는 퇴사 전에 방향이 결정됩니다

    • 실업급여의 기본 조건: 고용보험 180일 이상 가입(실직 전 18개월 이내) + 비자발적 퇴사
    • 특히 중요한 점: 사직서에 ‘권고 사직’ 임을 명시하고,  자발적 퇴사인 경우 이메일 등 증거를 확보 해야함
    *사례: 직장인 A씨는 "회사 권유로 퇴사했다"고 생각했지만, 사직서에 ‘개인 사정’이라고 기재한 탓에 실업급여가 반려되었습니다.

     

    • 자발적 퇴사인 경우에도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① 2개월 이상 임금체불

        ②성희롱, 성폭력, 그 밖의 성적인 괴롭힘

        ③직장 내 괴롭힘

        ④사업장 이전으로 통근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으로 소요

        ⑤질병·부상 등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

        ⑥임신·출산·육아·가족돌봄 등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퇴직 준비 실업급여 구직급여

     

     

     

    2.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로 전환’ 되면 보험료 폭등?

      퇴사를 하게 되면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이때 부동산, 차량 등 재산에 따라 보험료가 2~3배 이상 오를 수 있습니다.

      퇴사 전 건강보험공단 사이트에서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모의계산을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퇴직준비 퇴직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모의계산

     

     

    또한 퇴사, 휴폐업 등으로 소득이 감소했다면 건강보험료 조정 정산 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퇴직준비 퇴직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조정

     

     

     

     

    3. 국민연금,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1)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 납부

        퇴사 신고는 회사에서 하므로 본인이 신고할 필요는 없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2) 구직급여(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경우 : 실업크레딧 제도 활용

       실업크레딧이란 구직급여를 받는 동안 최대 1년간 연금보험료의 75%를 지원하고.

       그 기간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3) 소득이 없어 납부하기 힘든 경우: 납부예외 신청하기

     

      4) 임의가입 신청하기

       배우자가 연금 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본인은 연금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하지만 본인이 희망한다면 임의가입 신청을 통해 연금을 납부하고, 국민연금 가입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준비 퇴직서류 퇴직 국민연금 실업크레딧
    퇴직 국민연금 납부예회
    퇴직 국민연금 임의가입

     

     

    4. 소득증빙 서류, 퇴사 전 미리 챙겨야 합니다

    퇴사 후에는 회사에 서류 요청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다음의 서류를 미리 받아놓으시기 바랍니다.

     

    ◆ 퇴사전 꼭 챙길 서류 목록
     ① 재직 또는 경력 증명서 : 국민연금공단에서 가입 내역을 발급받아 경력증명서로 활용 가능
     ② 급여명세서 (최근 3개월)
     ③ 원천징수영수증 : 홈택스 가능하나 회사에서 신고 후 반영되기까지 일정기간 소요되므로 미리 받아놓는 것이 좋음
     ④ 이직확인서 요청 : 회사에서 고용센터로 제출, 구직급여(실업급여) 신청하는 경우 꼭 필요한 서류이기에 퇴사 전 회사에       꼭 요청하시기 바립니다

     

     

     

    5. 생활비 최소 3개월치 마련하기

      • 고용보험 통계에 따르면, 보통 실업급여 수급까지는 신청 → 승인 → 첫 입금까지 약 4~6주가 소요
      • 퇴직금도 14일 이내 지급 의무지만, 실제로는 늦어지는 경우도 있음

    이 기간 동안은 월세, 식비, 교통비 등 고정지출이 계속나가므로, 최소 3개월치 생활비를 마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생활비 계좌를 하나 만들어놓고 정해진 금액안에서

    고정비, 변동비, 생활비 등 자금 계획을 미리 세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고정비 지출 절감을 위해 보험료 유예 신청도 가능한지 사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퇴직준비 퇴직금계산기

     

    퇴사는 생각보다 쉽습니다.

    진짜 어려운 건, 퇴사 ‘다음’입니다.

    실업급여, 건강보험, 국민연금, 생활비…

    통장 잔고보다 중요한 건 이 모든 걸 ‘미리 계산해봤느냐’입니다.

    여러분들은 미리 준비하셔서 후회없는 퇴사를 하시기 바랍니다.